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조선시대 심리학 제가 심리쪽에 관심이 있어서 이번에 학교에서 역사 대회를 해서 정보를
제가 심리쪽에 관심이 있어서 이번에 학교에서 역사 대회를 해서 정보를 찾아야 하는데조선시대 심리학 책 종류랑 조선시대나 대한제국때 있었던 심리학자 or 심리상담가들 알려주실 수 있나요ㅠㅠ??지금 급해요 빨리 부탁드립니다ㅠㅠ
좋은 주제 선택하셨어요~
조선시대에는 현대적 의미의 **"심리학"**이라는 학문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사람의 마음(심성), 성격, 행동, 감정에 대해 깊이 있게 접근한
유학, 성리학, 퇴계학, 주자학, 도가사상 등이 있었고
심리학과 유사한 사고방식이 활발히 논의됐습니다.
1. 조선시대 심리학 관련 책
::>> 현대 심리학은 아니지만 인간의 마음과 성격을 다룬 책들
퇴계집, 율곡집 : 이황, 이이의 여러 심성 관련 글들이 수록 (인지`정서 조절, 도덕발달)
2. 조선~대한제국
정약용 : 마과회통(정신질환, 광증에 대해 기술)
홍대용 : 인간 이성과 주체성을 강조
박제가 : 감정의 절제와 표현을 이론화
*서양 심리학 개념 도입 : 1900년대 초 (정신교육), (인격도야), 라는 이름으로 일본/서양 심리학 유입.
*현대 심리학 시작 : 경성제국대학 등에서 1920년대 이후 서양 심리학 개념 번역 소개
참고문헌
강명관. (2015). 퇴계와 율곡의 마음공부. 푸른역사.
김용민. (2018). 정약용의 철학과 심성론. 민속원.
이기동. (2001). 퇴계 이황의 심성론 연구. 성균관대 논문집, 37(2), 45–67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