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안녕하세요. 중학생 2학년 남학생입니다.저는 또래 친구들 보다는 학교 잠수가 별로
안녕하세요. 중학생 2학년 남학생입니다.저는 또래 친구들 보다는 학교 잠수가 별로 높지 않은 편이라인문계를 못 간다는 소리를 많이들 듣고는 합니다.그런 손가락질 받으면 별로 속상하지는 않지만, 만약에 전자공고를 갈 수 있는 조건이 있으면 시험 성적 몇 퍼센트에 들어야 하는지 궁금해서 이 글에 적어봐요.국어 : 객관식 : 30점 서논술형 : 미정수학 : 객관식 : 19점 서논술형 : 미정사회 : 객관식 : 13점점 서논술형 : 11점과학 : 객관식 : 14점 서논술형 : 약11점영어 : 객관식 : 12점 서논술형 : 미정역사 : 객관식 : 6점 서논술형 : 미정도덕 : 객관식 : 35점 서논술형 : x기가 : 객관식 : 약42점 서논술형 : x수행평가 및 태도평가는 대부분 못하면 60점 잘하면 80점입니다. 태도 너무 좋아서 반에서 저만 특별히 마이너스 먹어본 적이 없어요. 다만 공부를 못 한다는거죠.지금이라도 열심히 해보고 싶지만별로 해봐도 집중이 안되고 인문계 들어가도 야자 안하고 놀 거 생각하니까 치울 생각 밖에 안 나요.그래도 국어는 문제집 사서 하기라도 해요.위에 저 성적 가지고 인문계는 못 가더라도 전자공고 같은 곳은 갈 수 있을려나요?
글을 읽으면서 참 솔직하고 담백하게 고민을 털어놨구나 싶었어요. 손가락질 듣는다면서도 속상하지는 않다고 쓰고, 그런데도 '전자공고는 갈 수 있을까' 하고 묻는 걸 보니까 정말 현실적으로 고민 중인 게 느껴졌어요.
먼저 결론부터 말하면, 지금 성적 가지고도 '인문계는 어렵더라도 전자공고 같은 특성화고'는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요. 다만 지역과 학교별 경쟁률, 학급 수, 모집 기준이 달라서 정확한 건 살펴봐야 해요.
- 특성화고는 보통 '내신 성적'으로 선발해요.
- 내신이 좋으면 당연히 유리하지만, 인문계보다 합격선이 낮은 편이에요.
- 일부 경쟁이 센 인기 특성화고(수도권 대도시권의 명문 공고)는 중상위권 정도를 요구하기도 해요.
- 지방, 군 단위, 학생 수가 적은 지역일수록 문이 더 넓기도 해요.
- 학교마다 조금 다르지만 3학년 2학기까지의 내신이 가장 중요해요.
- 과목별 성취도(등급)를 종합해 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지금처럼 객관식/서술형 점수를 가지고 단정짓긴 어려워요.
- 수행평가, 태도 평가도 비율이 작지 않게 반영돼요.
- 태도 평가가 좋아서 수행 점수에서 마이너스가 없어요. 이건 정말 큰 강점이에요.
- 국어 문제집이라도 스스로 사서 한다는 건 '마음이 완전히 꺾인 게 아니다'는 뜻이에요.
- 중학교 성적을 특성화고에서는 조금 더 폭넓게 봐 주는 경우가 많아요.
1. 목표를 '인문계'에서 '특성화고'로 바꾼다고 해서 공부를 완전히 놓으면 안 돼요.
- 특성화고도 지원자가 몰리면 '성적 순'으로 잘라요.
- 특히 전자공고처럼 취업 연계가 좋거나 지역에서 인기 있는 곳은 생각보다 높아요.
- 2학년 2학기, 3학년 성적이 훨씬 크게 반영돼요.
- 진짜 어려운 문제를 맞히는 게 아니라, '틀린 문제를 줄이기'를 목표로 해 보세요.
- 국어 문제집 꾸준히 하는 건 정말 좋아요. 나머지도 한두 과목만이라도 살짝 끌어올리면 달라져요.
- 담임 선생님은 예전 졸업생들 사례를 제일 잘 알아요.
- "솔직히 지금 성적이면 전자공고 가능해요? 어디 정도 추천하세요?" 물어보면 훨씬 정확해요.
질문자님이 정말 잘한 건, '그냥 포기'가 아니라 "내가 이 점수로 전자공고 갈 수 있을까요?" 하고 현실적으로 물어본 거예요. 이건 정말 중요한 출발이에요.
지금이라도 조금씩만 마음을 잡으면 충분히 갈 수 있는 학교 찾을 수 있어요. 앞으로도 너무 '나는 못 한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조금이라도 올리면 더 많은 선택지가 생긴다'고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됐다면, 답변 채택과 ‘좋아요’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