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재산세 납부기한 넘기면 어떤 불이익이 발생하나요? 재산세 납부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된다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재산세 납부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된다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그리고 장기 연체 시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기본적인 불이익: 가산금 부과
✅ 가산금이란?
재산세 납부기한을 1일이라도 넘기면 원칙적으로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가산금 부과 기준
초기 3% 가산금: 납부기한 경과 시 세액의 3%
매월 0.75%씩 중가산금: 체납 발생 1개월 이후부터 최대 60개월(5년간) 동안 월 0.75% 부과
(예: 100만 원 체납 시 1년간 최대 약 12%까지 불어날 수 있음)
2. 장기 체납 시 단계적 불이익
체납 기간
불이익
1개월 경과
중가산금 발생 (매월 0.75%)
3~6개월 경과
재산 압류 절차 시작 가능 (예: 부동산, 자동차, 예금 등)
6개월~1년 이상
압류 자산에 대해 공매(경매) 절차 착수 가능
장기 체납 (수년간)
- 신용등급 영향 가능성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입찰 제한
- 출국 제한 대상 포함 가능성 (고액·상습 체납자)
3. 기타 유의사항
재산세 체납자 명단 공개
일정 금액 이상(지방세 1천만 원 이상 체납 1년 이상)일 경우 지자체 홈페이지 등에 명단 공개될 수 있습니다.
예금·급여 압류
지방세는 강제 징수권이 있음. 즉, 별도 소송 없이도 금융자산, 급여, 부동산을 압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