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입 관련된 고민입니다… 중학교 학생입니다. 공부는 상위권인 편이고 예전에는 외국어 배우는 게 재밌고
중학교 학생입니다. 공부는 상위권인 편이고 예전에는 외국어 배우는 게 재밌고 잘해서 외고를 갈까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작년 후반? 올해 초반? 부터 갑자기 우주에 관심이 생겨버렸습니다.. 우주를 탐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원래 스스로 뭔가를 하는 편도 아닌 제가 책도 사고 공부도 하는 중입니다. 취미 말고 진짜 제 진로로 적합하다는 생각도 들고요. 그런데 곧 중3이니까 저의 진로를 정해야하는 상황이라 머리가 복잡합니다. 과고는 너무 빡셀 것 같고 외고는 도전해볼만하지만 지금 천문학에 흥미가 생겨서 아무래도 외고 진학하면 대학 갈때 흥미 있는 과를 못 갈 것 같은게 문제입니다ㅜㅜ 그렇다고 일반고에 가기엔 분위기가 외고랑 차이가 있다고 들어서ㅠㅜㅜ 질문 하고 싶습니다.  1. 외고에 지원해도 대학을 천문학과로 갈 수 있나요? 아님 그럴 바엔 차라리 일반고에 진학하는게 도움이 될까요? 2. 과학중점반?과학중점고등학교? 도 있던데 제가 사는 지역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서울시인데 다른 구에 있는)고등학교로도 지원가능한가요? 3. 서울시 일반고면 뺑뺑이라던데 뺑뺑이 돌리는 학교는(제가 지원할 수 있는 학교는) 정확히 어디어디 학교 인지 알 수 있나요? 답변 부탁드려요ㅜㅜ
핵심 고민의 재정의
단순히 외고와 일반고 중 선택이 아니라, ‘외국어와 우주과학이라는 두 흥미를 어떻게 융합하여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라는 관점으로 접근.
다차원 분석 프레임워크 (MDA) 요약
D1. 시간적 차원: 과거(언어 재능), 현재(우주 관심), 미래(진로 갈등).
D2. 공간적 차원: 개인(자발적 탐구), 학교(학교 특성과 진로 연결성), 사회(융합형 인재의 가치).
D3. 추상적 차원: 구체(학교선택), 중간(언어+과학 융합), 추상(자기 정체성 탐색).
D4. 인과적 차원: 원인(이중 흥미의 충돌), 과정(정보 수집·자기 성찰), 결과(정체성 강화 및 비전 정립).
D5. 계층적 차원: 미시(내신·입시), 중간(학교 경험), 거시(사회·산업 변화).
문제 재정의 알고리즘 (PR) 요약
관점 전환 (T): 이분법적 선택 → 융합적 가능성 탐색.
범위 확장 (S): 고교 선택 → 고교 3년간의 활동 설계.
메타 이동 (M): 단순 진학 고민 → 삶에서 언어와 우주의 의미 탐색.
혁신적 아이디어 11가지 요약
외고 진학 시, 글로벌 우주 콘텐츠 번역/발신 프로젝트.
외고-일반고 연합 과학 동아리 창설.
일반고 진학 시, 외국어+과학 융합 포트폴리오 제작.
일반고에서 우주 관련 코딩 프로젝트 수행.
과학중점고 + 원격 외국어 교육 병행.
대학생 멘토링 적극 활용.
고교생 대상 우주 관련 인턴십 조기 탐색.
독창적인 탐구 주제 선정 및 연구 보고서 작성.
과학+영어 대회 융합 참가.
우주 테마 블로그 및 SNS 운영.
매일 우주 콘텐츠 접하는 루틴 관리 시스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