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염주 해설 염주를 선물 받았어요 소중한 지인이 선물한 물건이라 무교임에도 끼고 다니려고
염주를 선물 받았어요 소중한 지인이 선물한 물건이라 무교임에도 끼고 다니려고 해요 그런데 무슨 의미인지는 알고 차고 다녀야 할 것 같아서 글 써봅니다총 20개의 구슬이 있고 1개는 크기가 비교적 크고 광명진언 이라는 한자가 쓰여 있는 것 같아요 나머지 19개 구슬에는 1부터 19까지의 숫자가 쓰여있고 각 구슬에는 11자 혹은 14자의 한자가 쓰여있는 것 같아요한자가 무슨 뜻인지 해설해주실분 구해요
광명진언과 반야심경이 적혀 있는 것 같네요.
*광명진언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광명진언
옴 아모카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즈바라 프라바를타야 훔
옴 아모가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 즈바라 프라바릍타야 훔
oṃ amogha vairocana mahāmudrā maṇipadma jvāla pravarttaya hūṃ
ༀ་ཨ་མོ་གྷ་བཻ་ཪོ་ཅ་ན་མ་ཧཱ་མུ་དྲཱ་མ་ཎི་པ་དྨ་ཇྭཱ་ལ་པྲ་ཝ་རྟྟ་ཡ་ཧཱུྂ།
-이건 진언을 시작하는 소리입니다.
모든 진언의 근본음이며, 옴자에서 귀명의 뜻이 있다. 시방삼세에 항상 계신 부처님께 귀의하여 부처님의 광명과 하나가 되는 마음으로 외운다.
아모카
-불공(不空)으로 번역. 비로자나 여래의 공덕이 진리의 실체로 무한히 구현됨을 의미.
내 마음의 북방에 항상 계신 불공성취불의 명호이다. 불공성취불은 성소작지의 덕에 머무르며 일체중생을 위하여 가깝게 사바세계에 모습을 나타내어 교화하시는 역사상의 부처님 곧 석가모니불을 가리킨다.
바이로차나
-법신이 비로자나여래 내 마음의 중앙에 항상 계신 비로자나불 곧 법신불의 명호이며, 대일여래라고도 한다.
법신불은 부처님의 진리의 몸으로서, 마치 태양이 세간의 어둠을 없애고 일체의 만물을 성장 시키는 것처럼, 시방삼세의 온 우주법계에 두루 충만하여, 무한한 빛을 비추는 우주적 통일체의 상징으로서 ‘광명의 부처님’을 가리킨다. 법신불은 법계체성지의 덕에 머무르며 일체 천지만물 속에 내재하는 불신으로 사람을 포함한 온갖 삼라만상의 근원이다.
마하무드라
-대인(大印), 무드라는 법 또는 진리의 표상. 비로자나 여래의 작용이 진리와 하나임을 의미.
내 마음의 동방에 항상 계신 아촉불의 명호이다. 아촉불은 대원경지의 덕에 머무르며
우주법계의 만상을 명료하게 조견하고 중생의 번뇌를 퇴치하여 모든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보리심을 개발하여, 해탈케 하시는 부처님이다. 대원경지란 우주법계의 법계의 만상을 여실하게 현현하는 지혜로 일체를 있는 그대로 아는 지혜이다. 이것은 부처님의 지혜를
청정한 거울에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
마니
- 마니보주. 보배구슬입니다. 비로자나여래가 지닌 중생구제의 방편을 상징.
내 마음의 남방에 항상 계신 보생불의 명호이다. 대원력성취인 서방극락정토의 아미타불은
묘관찰지의 덕에 머무르며 중생을 위하여 설법하여 의심을 끊게 하고, 대자비로 일체 중생을 섭수하여 극락정토로 이끄시는 부처님이다.
*어떤 사람이 마니교주라고 하는데 아닙니다. 마니교는 서기 3세기에 생겨난 종교입니다. 기독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생겨났습니다.
파드마
연꽃을 상징한다.
즈바라
-광명의 뜻. 비로자나여래의 광명을 가리킴.
프라바릍타야
-'전변(轉變)'한다는 뜻. 비로자나여래의 광명이 서원에 의해 끝없이 변해가고 펼쳐감을 의미.
이상에서 말한 “부처님의 광명이여! 그 빛을 발하소서” 라는 뜻으로, 이 부분을 염송할 때는 자신의 안으로부터 부처님의 광명이 솟아나와 자신이 부처님의 자비광명으로 충만되어 있는 모습을 마음에 뚜렷하게 그리고 그 빛이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 이웃과 우리나라 전 세계 우주법계로 두루 퍼져 모든 중생들이 그 빛 속에서 행복하고 평안한 모습을 심상화한다.
-이건 진언을 닫을 때, 끝맺을 때 내는 소리.
모든 진언을 마무리 짓는 근본 음이여, 훔자를 외울 때는 이상에서 말한 오불의 지혜 광명이 자신 안에서 종합 완성된 모습을 마음에 그리면서 모든 부처님들께 지극한 감사와 귀의를 다짐한다.
*반야심경은 너무 길어서 다 설명드릴 수 없고,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불교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공(空) 사상을 아주 간략하게 설명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