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한국교육 동의하셔요? 청소년들의 교육의 경우공부를 열심히 하는것도 중요한게 아니고,심지어 잘하는것도 중요한게 아닌공부를

청소년들의 교육의 경우공부를 열심히 하는것도 중요한게 아니고,심지어 잘하는것도 중요한게 아닌공부를 남들보다 잘하고 남들보다 좋은 성적을 내는것(약간의 차이라도), 그리고 전교에서 몇등했냐혹은 전교/전국 에서 상위 몇%안에 드느냐가가장 중요하고 메인의 영역이라는것.한마디로 성실성도 객관적인 실력도 중요한 요소는 아니고,그저 '등수'가 중요한 요소라는것!
한국교육의 방식이 마음에 들지는 않습니다만, 그렇다고 '등수'가 성실성/객관성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말에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등수는 땅 파서 나오는 게 아니니까요. 1등이면, 단순 숫자 '1'이 중요한 게 아니고, 그 안에 든 노력과 성실성이 중요한 겁니다. 1등한 애는 그만큼의 노력을 했기에 그 점수가 나온거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등수는 성실성을 완전반영하진 못하더라도 가장 객관적인 결과를 점수로 매긴 점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열심히 한 것'과 '잘하는 것'을 종합평가하여 아주 객관적으로 나타낸 것이 등수입니다.
물론 압도적 천재여서 노력안하고 1등하는 경우도 아주 드물게 있습니다. 근데 그건 아주 드문경우니 그냥 보내준다 생각하시고요.
대부분... 99%의 상위권은 그만큼의 노력이 있기에 그 결과가 있는겁니다. 제가 수많은 학생들을 만나보는데
그 상위권 모든학생이 다 노력합니다. 보이든 안보이든, 자신만의 싸움을 계속 하고있어요.
보통 마인드 컨트롤 잘하는애들은, '쟤를 이기기 위해 공부한다'가 아니라, '내가 나중에 선택지를 늘리기 위해서 공부한다' '내가 발전하려고 공부한다'마인드입니다. 그리고 이건 등수상관없이 새겨야 할 말입니다.
꼴등이라고 시무룩하고 아무노력도 안하면 결국 망하는거고, 꼴등이어도 '아 내가 밥벌어먹고 살려면 노력은 좀 해야한다' 마인드를 가지면 적당히 성공하는겁니다.
물론 꼴등이라고 노력을 안했다는 뜻은 아닙니다. 공부효율이 안 나왔거나, 상황이 어려웠을 수 있죠.
이런애들은 고등학교 때까지는 대학 때 빛을 못보더라도, 나중에 사회나가면 인정받습니다.
비록 시작이 억까여도 노력하는 사람을 사회는 싫어하지 않거든요.
직장들어가면 대학학벌이 중요한 게 아니라 일 잘하는지 못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서울대 수석졸업해도 사회생활 적응못하면 때려치고 직장 이전 반복하다 백수되는거고,
고졸이어도 적당한 곳 잘 골라들어가서 일 잘하면 승진합니다.
이상입니다.
채택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