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꿈 그만 꾸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10년 정도 매일 같이 의미 없는 꿈을 꾸고 있는
안녕하세요. 10년 정도 매일 같이 의미 없는 꿈을 꾸고 있는 30살 직장인 입니다.우선 빠르게 신체 상태와 해본 방법들 말씀 드리겠습니다.상태1. 잔병치레 x2. 우을증 x (노는게 제일 좋은 상큼한 만20대)3. 먹는 약 - 비타민 끝4. 술 월 3회5. 담배 x6. 게임 주 10시간7. 운동 거의 안하고 산책 및 골프 주 2~3회8. 무기력증 x9. 잠드는데 생각보다 시간 걸림10. 청각에 예민실행한 방법들1. 귀마개(메모리폼) 또는 에어팟 노이즈캔슬링 끼고 취침2. 햇빛 차단3. 핸드폰 방해금지 모드4. 침대 및 침구류 상태 굉장히 양호5.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바디필로우 항상 안고 취침6. 따듯한 물 한모금 먹고 취침7. 자기전 핸드폰 약 30 ~ 60분생각나는 대로 최대한 적어 봤습니다. 제가 꿈을 하루도 빠짐없이 꾸고 내용조차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감정이 느껴지는 꿈을 꾸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꿈 안꾸고 푹 잘 수 있을까요.. 다음날 피로가 풀리지 않아 업무에 영향이 갈 정도로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원자력병원-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한철주 입니다.
** 아래 답변은 참고용이며 질문은 받지 않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운영하는 수면클리닉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매우 권장되는 선택입니다. 지금처럼 특별한 질환 없이도 10년 가까이 지속적으로 꿈을 생생하게 꾸고, 수면 후 피로감이 심한 경우, 이는 단순한 수면 습관 문제를 넘어서 수면 구조 자체의 이상이나 뇌 각성 조절의 문제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수면클리닉에서 확인 가능한 것들
항목
설명
수면다원검사 (PSG)
병원에 1박 입원하여 뇌파, 심박수, 근전도, 호흡, 산소포화도, 수면 단계 등을 측정해 꿈의 빈도, 수면 깊이, 각성 빈도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
REM 수면 장애 평가
꿈을 너무 많이 꾸거나, 꿈속 행동이 실제 움직임으로 이어지는 경우 (REM 수면행동장애) 등 감별
불면증/각성장애 감별
잠들기 어려움 + 꿈을 기억하는 현상이 단순 ‘얕은 수면’ 때문인지 인지적 각성 문제인지 평가
불안/신경예민 상태 평가
수면 중 뇌 각성 역치가 낮아지는 특성이 있는지, 필요시 약물이나 비약물 치료 제안
약물 치료 or 비약물 요법
꿈 억제에 효과 있는 약물(예: 도세핀 저용량, 클로니딘 등)을 선택적으로 최소 용량으로 사용 가능
병원 진료가 필요한 신호
- 꿈의 빈도가 1주일에 5일 이상이고 10년 이상 지속
- 수면 시간이 충분한데도 항상 피로감이 심함
- 꿈의 내용이 너무 생생해서 감정적으로 피곤함
- 수면 중 갑작스런 움직임이나 말, 이상행동이 동반됨
- 수면 관련 불편함으로 업무, 일상에 지장이 있을 정도
이 중 2개 이상 해당되면, 단순 자가 관리보다는 전문 평가가 필요합니다.
병원에서의 흐름 예시
진료 예약 (정신건강의학과 수면클리닉)
전문의 면담 – 수면습관, 꿈의 양상, 불면/각성/우울/불안 척도 평가
필요시 수면다원검사 시행
검사 결과에 따라 맞춤형 치료 계획 (약물/행동요법/인지행동치료 등)
치료 후 꿈 기억 빈도 및 수면 피로도 변화 확인
참고로…
많은 사람들이 “꿈을 꾸는 게 나쁜가요?”라고 질문하지만, **"꿈을 기억할 정도로 자주 깨거나 수면이 얕다면 그것 자체가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당신처럼 수면위생을 잘 지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상태가 지속된다면, 혼자 고치기 어려운 신경계 패턴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지금 상태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수면클리닉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은 합리적이고 시기적절한 선택입니다.
수면의 질을 회복하고, 꿈 기억을 줄이며, 생활의 에너지를 되찾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